[2016.11.07] 과학자의 다이어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108029006

다이어트는 자기계발이라는 21세기 신흥 종교의 핵심 교리다. 이 교리의 특징은 외모라는 일상의 권력기준에서 동력을 얻지만, 건강이라는 이 시대 또다른 진리의 절대적 지지를 동시에 받는다는 점이다. 비록 시대에 따라 선호되는 체형이 변한 것처럼 변화의 여지는 있을지라도, 값싼 풍요가 만든 비만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너무나 명백하며, 따라서 앞으로도 이 교리의 위세는 약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이어트의 가장 손쉬운 기준으로 쓰이는 것은 한 인간의 물적량을 숫자 하나로 환원시킨 몸무게라는 값이다. 키라는 또다른 인간의 특징을 제곱해 앞서의 몸무게를 이 결과로 나눔으로써, 우리는 키에 관계없이 비만을 판단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BMI)를 얻는다. 물론, 성인의 경우 키는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다이어트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자신의 체중 변화를 수시로 측정해 이를 실천의 동기로 삼는다. 이렇게 자신의 체중을 재는 방법은 실제로 효용이 증명된 매우 드문 다이어트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체중의 변화를 지배하는 첫 번째 원칙은 질량 보존의 법칙이다. 질량 보존의 법칙이란, 간단히 말해 어떤 대상이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겪더라도 변화의 전후로 그 질량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 쉽게 말하자면, 우유 팩 하나를 들고 체중계 위에 올라선 당신이 우유를 다 마시는 동안 체중계의 수치는 변하지 않는다. 우유 팩 하나는 200ml 이고, 액체의 비중은 대체로 1에 가까우므로 우유가 팩 안에서 당신의 위로 옮겨오는 동안 당신의 체중은 200g 이 늘었다.

질량 보존의 법칙은 간단한 몇 가지 사실을 알려준다. 몸으로 들어가는 것은 체중을 증가시키고 몸에서 나오는 것은 체중을 감소시킨다. 평소 체중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몸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은 만큼의 무언가가 몸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밥 한 공기는 100g 정도이고 한 사람의 식사량은 수백 g 안팍으로, 보통 물과 음료를 포함한 2-3 kg 정도가 한 사람의 몸으로 들어간다.

몸에서 나오는 것은 고체와 액체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진다. 고체는 크기에 따라 한 번에 100-300g 정도이며 액체는 하루에 1-2 kg 에 이른다. 나머지는 피부 표면을 통해 증발하는 체액으로 매 시간 수십 g 이 빠져나간다. 밤 사이 줄어든 체중은 이때문이다. 어쨌든 질량보존의 법칙은 매우 단순한 한 가지 사실을 말해주는데, 아무 것도 먹지 않는다면, 체중은 빠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질량 보존의 법칙을 이해했다면, 다음은 에너지 보존 법칙이다. 에너지는 곧 열이며, 다이어트의 세계에서는 열의 단위인 칼로리가 쓰인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밖에 없다. 에너지 보존 법칙을 질량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우리 몸에 들어온 에너지에서 우리가 사용한 에너지를 빼고 나면 남은 만큼이 우리 몸에 축적된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동은 체온 유지로, 전체 소비의 절반 이상이 여기에 쓰인다. 물론 외부 기온, 활동량, 땀을 통한 체온 조절 등 다양한 변수가 있다. 그리고 뇌신경의 전기적 활동, 근육의 육체적 활동, 소화를 위한 내장기관의 활동에도 에너지는 소모된다. 운동은 건강한 삶의 유지에 꼭 필요하지만, 다이어트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들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결국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적게 먹어야 한다. 다이어트가 필요해진 이유는 현대의 인간이 먹을 것이 부족해 눈 앞에 보이는 것은 모두 먹어두는 것이 유리했던 시대에 진화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후손인 우리는 그들이 또한 우리에게 물려준 이성을 사용해 적절한 시점에서 자신의 욕망을 제어 할 수 있다. 텔레비전에서 짜장면이 나오면 아이들은 중국집에 가자고 말하고, 치킨이 나오면 치킨을 주문하자고 말한다. 나의 대답은 한결같다. “애들아, 저런걸 간접광고(PPL)라고 한단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